성결의 원리
성결의 원리
Principle of Holiness
Ⅰ. 성결의 중요성(히12:9-15)
1) 불가결성(히12:14)
2) 하나님의 명령(벧전1:15,16)
Ⅱ. 성결이 필요한 성경적인 이유
1) 하나님을 위하여(고전6:19,20)
2) 다른 사람을 위하여(마5:16)
3) 나를 위하여(히12:14)
Ⅲ. 성결의 기초
1) 믿음(엡2:8-10)
2) 사랑(요14:15; 요일2:3-6, 15-17)
3) 성령(롬6:1,2; 8:3,4; 히12:10)
4) 우리의 책임(히12:1,14; 벧후3:14)
5) 율법주의에 근거하지 않은 새로운 대안: 사랑의 법
Ⅳ. 누가 성결을 가르쳐야 하는가?
1) 성경
① 성경의 명확한 진술들
② 성경에 내제되어 있는 원리들
2) 경건한 교회 지도자들(목회자와 교사들)
① 하나님의 말씀에 더하거나 빼서는 안 된다.
② 성경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적용한다.
3) 성령은,
① 하나님의 말씀과 모순되지 않는다.
② 성결의 본질, 상황에 따른 내적 감동
Ⅴ. 성결의 정의
1) 하나님: 전적으로 완전하시며 정결하시다.
2) 사람: 하나님의 품성과 뜻에 순종한다.
3) 그리스도를 닮으라(롬13:14; 갈4:19; 엡4:20-24).
① 그리스도의 마음과 인격
② 예수님은 무슨 일을 하셨나?
4) 이중적인 정의
① 성별(聖別)
② 헌신(獻身)
③ 구약성경의 보기 eg. 안식일, 성막의 기명(器皿)
Ⅵ. 성별(고후6:14-7:1)
1) 성별의 필요성
2) 성별은 부정적인 것이 아니다(결혼과의 비유).
3) 내적이며 외적인 성결이어야 한다.
4) 지속적인 성장의 과정이다(벧전3:18).
5) 다른 사람들의 동기나 하나님과의 관계를 판단하지 말라.
Ⅶ. 헌신(롬12:1,2)
1) 희생적인 삶이다.
2) 합리적이며 논리적인 봉사이다.
3) 세상에 복종하지 않는다.
4) 천국의 가치를 추구한다.
5) 지속적인 변화와 갱신이다.
Ⅷ. 성결의 개요(영역에 대한)
1) 성령의 열매(갈5:22,23)
2) 태도(갈5:19-21, 엡4:23-32)
3) 생각(마15:18-20; 고후10:5; 빌4:8)
4) 몸에 대한 청지기직(고전3:16,17; 6:12,19,20)
5) 혀(약1:26; 3:1,2; 4:11; 5:12)
6) 눈(시101:2,3; 119:37; 마6:22,23)
7) 장신구, 의복, 머리(신22:5; 고전11:1-16; 딤전2:8-10; 벧전3:1-5)
① 정숙함
② 장식을 삼가라
③ 가격
④ 남성과 여성의 구별
⑤ 악한 모임(會)을 피하라
8) 세상적인 활동(살전5:22; 딛3:3; 요일2:15)
9) 결혼의 신성함(고전6:9,10; 골3:5; 히13:4)
10) 생명의 존엄함(출20:13; 마5:39,44)
11) 정직과 성실(막10:19)
12) 교제(마18:15-18; 고전5:9-6:8; 15:33; 고후6:14)
Ⅸ. 세상적인 가치들(요일2:15-17)
1) 세상의 체제: 육신의 정욕, 안목의 정욕, 이생의 자랑
2) 자만, 권세(잠6:16,17; 16:18; 마20:25-28; 딤후2:24,25; 약1:19,20; 벧전5:3)
3) 돈, 물질만능주의(눅12:15; 딤전6:5-10,17,18)
4) 외모와 성적 매력(딤전2:8-10; 벧전3:3; 잠6:32,33; 고전6:15-18; 딤전3:2,7; 딤후2:22)
5) 쾌락(딤후3:1-5; 딛3:3)
6) 사회적 지위, 편견, 편애(롬2:11; 갈3:28; 딤전5:21; 약2:9)
7) 성실과 정직의 결핍(잠6:16-19; 롬13:8; 고후8:20,21; 딤전4:12)
8) 지도자가 피해야 할 세 가지 주요 함정: 돈, 권력, 성적인 부도덕/타락
Ⅹ. 율법주의 VS 사랑
1) 율법주의란
① 행위에 근거한 구원
② 비성경적인 규범들을 둔다.
2) 정죄 받은 율법주의(마23장; 로마서; 갈라디아서)
3) 율법주의의 위험성(마23장): 자기의(自己義), 내적 성결의 결여, 성결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함, 최소한의 요건과 적용, 적용하기 곤란한 허점을 이용하여 살려고 함, 위선과 모순, 인위적인 규정들, 그릇 적용된 원리들, 율법주의의 체계를 유지하기 어려움 비판적임, 정죄하는 태도 etc
4) 적절한 대안
① 방종이나 방탕함이 아니다.
② 도덕법의 중요성
③ 믿음, 사랑, 성령
④ 오직 사랑만이 충분하며 수용 가능한 동기이다.
⑤ 사랑은 율법보다 강하면서도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Ⅺ. 그리스도인의 자유(갈5:13)
1) 죄로부터의 자유(롬6장)
2) 율법으로부터의 자유(롬7:5,6)
① 형벌
② 무력함
③ 오용
④ 의식적인 면(양식적인)
3) 도덕적인 적용이 아닌 문제들에 대한 자유함(롬14:1-6)
4) 하나님의 도덕법은 언제나 적용된다(마28:20; 롬8:4,13; 딤후2:5; 요일3:4).
5) 네 가지 지침들(고전5:12; 10:23, 31-33)
6) 교회의 집사회와 교회 규범은 중요하다(행15:28,29; 딤전5:17; 딤후4:2; 히13:7).
Ⅻ. 성결교육
1) 성결규범이 유효하려면 성경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
2) 성결 규범의 두 형식
① 성경의 명확한 진술
② 성경의 원리를 현대적인 상황에 적용
3) 성결과 문화
① 성경은 진리이다.
㉠ 절대적
㉡ 모든 문화와 시대, 상황에 적용
② 특정한 적용들은 문화적으로 상대적일 수 있다.
③ 성경이 가르치는 것과 단순히 기록하고 있는 것을 구별하라.
4) 긍정적이며 믿음을 성장시키는 접근
① 성경적 원리들을 설교하고 가르치라.
② 교회 회원자격과 지도적 역할, 대표적 역할에 관한 특정 규범들
③ 필요시 개인 상담
④ 무조건적인 사랑과 환영
5) 지혜와 인내
① 특히 교회 방문자들과 새로운 개종자들에게
②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을 의지하며 경건한 모범들에 기대를 걸어라.
ⅩⅢ.. 결론
1) 하나님은 의욕과 능력을 모두 다 주신다.
2) 성결을 충족시켜야 할 우리의 책임이 있다.
3) 성결의 유익함: 기쁨, 특권, 건전한 삶의 방식
4) 교역자의 직무는 말과 모범으로 선포하는 것이다(딤전4:12,13).
5) 우리는 “성공”하기 위해서가 아닌 “충성”하기 위해서 부름을 받았다. 결과는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고전3:6;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