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3:1-17
{요 13장}
1 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
2 마귀가 벌써 시몬의 아들 가룟 유다의 마음에 예수를 팔려는 생각을 넣었더라
3 저녁 먹는 중 예수는 아버지께서 모든 것을 자기 손에 맡기신 것과 또 자기가 하나님께로부터 오셨다가 하나님께로 돌아가실 것을 아시고
요한 복음 13장은 사랑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끝까지 사랑하다의 끝은 가룟 유다까지도 사랑하시는 예수님의 마음을 말한다.
발을 씻기실 때에 예수님을 가룟 유다를 제외시키지 않으셨다. 그리고 말씀을 잘 보면 예수님은 끊임없이 가룟 유다에게 회개할 기회를 주고 계신다. 거기까지 사랑하신 것이 바로 끝까지 사랑하신 것이다.
4 저녁 잡수시던 자리에서 일어나 겉옷을 벗고 수건을 가져다가 허리에 두르시고
5 이에 대야에 물을 떠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시고 그 두르신 수건으로 닦기를 시작하여
당시 노예(종)가 주인에게 이렇게 하였다. 우리들 인생의 주인, 만왕의 왕께서 제자들에게 이렇게 하셨다.
6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니 베드로가 이르되 주여 주께서 내 발을 씻으시나이까
7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하는 것을 네가 지금은 알지 못하나 이 후에는 알리라
이제 우리는 그 뜻을 분명히 알고 있어야 한다.
8 베드로가 이르되 내 발을 절대로 씻지 못하시리이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를 씻어 주지 아니하면 네가 나와 상관이 없느니라
9 시몬 베드로가 이르되 주여 내 발뿐 아니라 손과 머리도 씻어 주옵소서
10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미 목욕한 자는 발밖에 씻을 필요가 없느니라 온 몸이 깨끗하니라 너희가 깨끗하나 다는 아니니라 하시니
11 이는 자기를 팔 자가 누구인지 아심이라 그러므로 다는 깨끗하지 아니하다 하시니라
발을 씻는 것이 단순히 육체의 더러움을 씻는 것을 넘어서서, "관계"의 문제라는 것을 말하고 계신다.
이미 목욕을 했다는 것은 온전히 회개하였다는 것이며, 그것은 그들이 예수님의 제자라는 말이다.
{행 2:41, 개역} 그 말을 받는 사람들은 세례를 받으매 이 날에 제자의 수가 삼천이나 더하더라(제자=세례 받은 자)
{벧전 3:21, 개정} 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세례라 이는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니라
회개한 자에게, 예수님의 제자가 된 자에게는 날마다 자신의 발걸음(하루하루의 삶)을 돌아보는 회개가 남겨져 있는 것이다.
12 그들의 발을 씻으신 후에 옷을 입으시고 다시 앉아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을 너희가 아느냐
13 너희가 나를 선생이라 또는 주라 하니 너희 말이 옳도다 내가 그러하다
14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는 것이 옳으니라
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6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종이 주인보다 크지 못하고 보냄을 받은 자가 보낸 자보다 크지 못하나니
17 너희가 이것을 알고 행하면 복이 있으리라
사랑의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이것을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하신다.
예수님의 마음과 뜻이 왜곡되지 않고 그대로 전해지기를 원하시는 것이다. (발을 씻어주는 눈 앞의 현상만이 아니라,)
예수님은 선생이시다. 그렇다면 우리는 선생에게는 배우는 학생(제자)이다.
예수님은 주님(주인)이시다. 그렇다면 우리는 주인의 종(노예)이다.
이것은 다름을 말한다. 신분의 다름, 수준의 다름. 제자는 선생이 아니며, 종은 주인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으로서는 결코 어찌할 수 없는 경계를 예수님께서 친히 무너뜨린 것이다.
사람은 할 수 없기에 선생이 제자가 되시고, 주인이 종이 되어서 문제를 해결하신 것이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게 되었을까? 오로지 사랑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주라'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으로(아가페) 서로 사랑하라는 말씀이 된다.
사랑으로 서로의 허물을 덮고, 사랑으로 용서하고,
사랑으로 제자의 삶을 살아가며, 종의 삶을 살아가서 선생처럼 주인처럼 되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족례는 단순하게 발을 씻는 것을 넘어서서 사랑의 절대적인 표현이 되는 것이다.
예수님의 이 사랑에는 잠시 뒤에 예수님을 팔아넘길 가룟 유다까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기독교는 종교인가? 기독교는 종교가 아니다. 기독교는 관계이다.
우리가 행위에 초점을 맞춘다면 기독교는 율법에 매인 종교가 된다.
{마 22:37-40, 개정} 37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38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39 둘째도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40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
가장 고귀한 가치는 관계이다. 사랑은 종교적인 용어가 아니다. 기독교는 하나님과 사람의 사랑의 관계를 즐기는 것이다.
{요 14:6, 개정}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아들을 통한 관계이다.
아들을 통해서만 아버지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아들을 통해서만 아버지와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아들을 통해서만 하나님과의 관계가 가능하다.
{요 5:19-20, 개정} 19 그러므로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들이 아버지께서 하시는 일을 보지 않고는 아무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나니 아버지께서 행하시는 그것을 아들도 그와 같이 행하느니라 20 아버지께서 아들을 사랑하사 자기가 행하시는 것을 다 아들에게 보이시고 또 그보다 더 큰 일을 보이사 너희로 놀랍게 여기게 하시리라
관계의 발전은 오직 순종하는 삶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선생이자 주님 되신 예수께서 발을 씻겨주는 종의 모습을 통하여 순종하심과 사랑하심을 나타내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