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함의 원리 Principle of Holiness

거룩함의 원리 Principle of Holiness



목회자 세미나(2006)
데이비드 버나드




1. 거룩함의 중요성(히12:9-15)
 A. 필요(히12:14)
 B. 하나님의 명령(벧전1:15,16)

2. 거룩함이 필요한 성경적인 이유
 A. 하나님을 위하여(고전6:19,20)
 B. 다른 사람을 위하여(마5:16)
 C. 나를 위하여(히12:14)

3. 거룩함의 기초
 A. 믿음(엡2:8-10)
 B. 사랑(요14:15; 요일2:3-6, 15-17)
 C. 성령(롬6:1,2; 8:3,4; 히12:10)
 D. 우리의 책임(히12:1,14; 벧후3:14)
 E. 율법주의에 근거하지 않은 새로운 대안: 사랑의 법

4. 누가 거룩함을 가르쳐야 하는가?
 A. 성경
  i. 성경의 명확한 진술들
  ii. 성경에 들어 있는 원리들
 B. 경건한 교회 지도자들(목회자와 교사들)
  i. 하나님의 말씀에 더하거나 빼서는 안 된다.
  ii. 성경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적용한다.
 C. 성령은,
  i. 하나님의 말씀과 모순되지 않는다.
  ii. 거룩함의 본성으로 필요와 상황에 따라 내적인 감동을 주신다.

5. 거룩함의 정의
 A. 하나님: 절대적으로 완전하시며 정결하시다.
 B. 사람: 하나님의 품성과 뜻에 순종한다.
 C. 그리스도를 닮으라(롬13:14; 갈4:19; 엡4:20-24).
  i. 그리스도의 마음과 인격
  ii. “예수님이시라면 어떻게 하실까?”
 D. 이중적인 정의
  i. 성별(聖別) – 세상적인 것들에서 떠나 구별됨
  ii. 헌신(獻身) – 하나님께 순종하고 헌신함
  iii. 구약 성경의 보기: 안식일, 성막의 기구 등

6. 성별(고후6:14-7:1)
 A. 구별의 필요성
 B. 구별한다는 것은 부정적인 것이 아니다(결혼과의 비유).
 C. 내적이며 외적인 거룩함이어야 한다.
 D. 지속적인 성장의 과정이다(벧전3:18).
 E. 다른 사람들의 동기, 상태, 하나님과의 관계를 판단하지 말라.

7. 헌신(롬12:1,2)
 A. 희생적인 삶이다.
 B. 합리적이며 논리적인 섬김이다.
 C. 믿음 없는 세상에 복종하지 않는다.
 D. 천국의 가치를 따라 산다.
 E. 끊임없이 변화하고 새롭게 한다.

8. 거룩함의 개요 (다양한 부분)
 A. 성령의 열매(갈5:22,23)
 B. 태도(갈5:19-21, 엡4:23-32)
 C. 생각(마15:18-20; 고후10:5; 빌4:8)
 D. 몸을 다스림-청지기적인 삶(고전3:16,17; 6:12,19,20)
 E. 말하는 것(약1:26; 3:1,2; 4:11; 5:12)
 F. 보는 것(시101:2,3; 119:37; 마6:22,23)
 G. 장신구, 의복, 머리(신22:5; 고전11:1-16; 딤전2:8-10; 벧전3:1-5)
  i. 정숙함
  ii. 지나친 장식을 삼가라
  iii. 사치하지 않음
  iv. 남성과 여성의 구별
  v. 악한 것들을 피하라
 H. 세속적인 활동(살전5:22; 딛3:3; 요일2:15)
 I. 결혼의 신성함(고전6:9,10; 골3:5; 히13:4)
 J. 생명의 존엄함(출20:13; 마5:39,44)
 K. 정직함과 고결함(막10:19)
 L. 교제(마18:15-18; 고전5:9-6:8; 15:33; 고후6:14)

9. 세속적인 가치들(요일2:15-17)
 A. 세속적인 가치체제: 육신의 정욕, 안목의 정욕, 이생의 자랑
 B. 자만, 권력(잠6:16,17; 16:18; 마20:25-28; 딤후2:24,25; 약1:19,20; 벧전5:3)
 C. 돈, 물질만능주의(눅12:15; 딤전6:5-10,17,18)
 D. 외모와 성적 매력(딤전2:8-10; 벧전3:3; 잠6:32,33; 고전6:15-18; 딤전3:2,7; 딤후2:22)
 E. 쾌락(딤후3:1-5; 딛3:3)
 F. 사회적 지위, 편견, 편파적인 태도(롬2:11; 갈3:28; 딤전5:21; 약2:9)
 G. 성실하지 않고 정직하지 않음(잠6:16-19; 롬13:8; 고후8:20,21; 딤전4:12)
 H. 지도자가 피해야 할 세 가지 주요 함정: 돈, 권력, 음행

10. 율법주의와 사랑
 A. 율법주의란
  i. 행위에 근거한 구원
  ii. 성경적이지 않은 규범들을 둔다.
 B. 정죄 받은 율법주의(마23장; 로마서; 갈라디아서)
 C. 율법주의의 위험성(마23장): 자기의(自己義), 내적 거룩함의 결여, 거룩함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함, 최소한의 요구와 허점으로 생활, 위선과 모순, 성경에 기초하지 않고 사람이 만든 규정들, 원칙의 오용(잘못 사용함), 율법주의적인 체계는 유지하기 어려움, 비판적임, 정죄하는 태도 등
 D. 적절한 대안
  i. 방종이나 방탕함이 아닌 자유
  ii. 도덕법의 중요성
  iii. 믿음, 사랑, 성령
  iv. 오직 사랑만이 받아들일 만한 충분한 동기이다.
  v. 사랑은 율법보다 더욱 강력한 요구이다.

11. 그리스도인의 자유(갈5:13)
 A. 죄로부터의 자유(롬6장)
 B. 율법으로부터의 자유(롬7:5,6)
  i. 율법의 형벌
  ii. 율법의 무력함
  iii. 율법의 오용
  iv. 율법의 외식함
 C. 도덕과 관계없는 문제들에 대한 자유함(롬14:1-6)
 D. 하나님의 도덕법은 언제나 적용된다(마28:20; 롬8:4,13; 딤후2:5; 요일3:4).
 E. 네 가지 지침들(고전5:12; 10:23, 31-33)
  i. 나에게 유익한가?
  ii. 내가 힘을 얻을 수 있는가?
  iii.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는가?
  iv.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는 않는가?
 F. 교회의 행정과 교회 규범은 중요하다(행15:28,29; 딤전5:17; 딤후4:2; 히13:7).

12. 거룩함을 가르침 – 교육
 A. 거룩함에 대한 규범이 가치가 있으려면 오직 성경에 그 근거를 두어야 한다.
 B. 거룩함에 대한 규범의 두 가지 종류
  i. 성경의 명확한 진술
  ii. 성경의 원리를 현대적인 상황에 적용
 C. 거룩함과 문화
  i. 성경은 진리이다.
    -절대적이다.
    -따라서 모든 문화와 시대, 상황에 적용된다.
  ii. 어떤 적용들은 문화적으로 상대적일 수 있다.
  iii. 성경이 가르치는 것과 단순히 기록된 것은 구별하라.
 D. 긍정적이면서도 믿음을 성장시키는 접근 방법
  i. 성경적 원리들을 설교하고 가르치라.
  ii. 교회 가족의 자격과 지도자의 역할에 대하여 규범을 세우라
  iii. 필요할 때는 개인 상담을 가지라
  iv.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환영하라
 E. 지혜와 인내
  i. 특히 교회 방문자들과 새가족들에게
  ii.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을 의지하며, 교회 안의 경건한 모범들에 기대를 걸라.

13. 결론
 A. 하나님은 우리에게 하고자 하는 마음과 할 수 있는 능력을 모두 다 주신다.
 B. 거룩함을 채워가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C. 거룩함의 유익: 기쁨, 구원 받은 사람들만의 특권, 아름다운 삶의 방식
 D. 사역자의 할 일은 말과 행동에서 모범을 보이며 선포하는 것이다(딤전4:12,13).
 E. 우리는 “성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충성”하기 위해서 부르심을 받았다. 온전히 순종한 뒤의 모든 결과는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고전3:6; 4:1-5).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거룩함이란 무엇인가

머리에 관한 성경의 진리

성경적인 장신구와 옷차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