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단에서 시작합니다


제단에서 시작합니다 / It begins at the Altar


6:12-13
[12] 제단 위의 불은 항상 피워 꺼지지 않게 할지니 제사장은 아침마다 나무를 그 위에서 태우고 번제물을 그 위에 벌여 놓고 화목제의 기름을 그 위에서 불사를 지며 [13] 불은 끊임이 없이 제단 위에 피워 꺼지지 않게 할지니라

Leviticus 6:12-13
12 And the fire upon the altar shall be burning in it; it shall not be put out: and the priest shall burn wood on it every morning, and lay the burnt offering in order upon it; and he shall burn thereon the fat of the peace offerings. 13 The fire shall ever be burning upon the altar; it shall never go out.

성경은 불이 제단 위에서 항상 피워져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The Bible tells us that the fire was to burn continually on the altar of sacrifice.
놋 제단은 청동으로 덮인 아카시아 나무로 만들어 졌습니다.
The brazen altar was made of acacia wood covered with bronze.
나무는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인성을 말해 줍니다.
The wood speaks to us of the humanity of Christ.
그 놋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심판을 가르쳐 주고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모습을 보여 줍니다.
The bronze teaches us of God’s judgment and shows us a true presentation of Jesus Christ.
제단이 나무로만 만들어 졌더라면, 불길에 휩싸여 타버렸을 것입니다.
If the altar was only made of wood, it would have been consumed in the flame of the fire.
제단이 놋으로만 되었다면, 어느 누가 옮기기에도 너무 무거웠을 것입니다.
If it was only of bronze, then it would have been too heavy for any man to carry.

그리스도가 단지 평범한 인간이었다면, 그는 우리를 구원하고 우리의 죄를 용서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If Christ was only a common man, then he would have been incapable of saving us and forgiving us our sins.
그리고 그가 거룩한 하나님이기만 하셨다면, 하나님의 심판의 무게 아래 살아남을 사람은 없었을 것입니다.
And if he was only a divine God, then no man would have been capable of living under the weight of God’s judgment.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는 육신으로 나타나신 하나님이십니다.
But Jesus Christ was God manifest in the flesh.
죄를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십니다.
The only recipe that could defeat sin.

어떤 사람들에게는, 하나님의 유일성이 중요한 교리가 아니겠지만, 그것은 우리 신앙의 초석이며 성경적인 구원에 대한 참된 이해를 줍니다.
To some, the Oneness of God is not an important doctrine, but it is the cornerstone of our faith and gives us a true understanding of Bible salvation.
예수 그리스도의 위격을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Knowing who the person of Jesus Christ is does matter!

그의 죽으심으로 우리의 죄값을 치르셨습니다.
His death paid the price for our sins.
그는 우리의 약점과 연약함을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인간이었지만, 또한 죄가 없고 흠이 없는 거룩한 분이셨습니다.
He was human enough to feel and understand our weaknesses and infirmities yet divine enough to be sinless and blameless.

제단의 치수는 폭이 5규빗, 길이가 5규빗, 높이가 3규빗이었습니다.
The measurements of the altar were five cubits wide, five cubits long and three cubits high.
이것은 성막에서 가장 큰 기구이며, (물구멍에 대한 치수는 없습니다) 다른 부분들은 내부에 들어맞습니다.
It is the largest piece of furniture in the Tabernacle, (we do not have measurements for the laver) and the other pieces will fit inside of it.
우리가 회개하며 주님께 나올 때 하나님의 용서는 제한이 없습니다.
There is no limit to God’s forgiveness when we come to him in repentance.
성막의 다른 기구들의 역할은 모두 제단에 달려 있습니다.
The functions of the other Tabernacle furnishings all depend upon the altar.
그 제단에는 네 귀퉁이에 뿔이 네 개 있습니다. 각각의 뿔은 지면의 바깥쪽 끝을 향합니다. 모든 인종, 민족, 피부색, 신념, 언어의 모든 인류에게 구원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The altar had 4 horns on its 4 corners. Each horn faced outward to the four ends of the earth; speaking to us the message of a salvation for all mankind of every race, nation, color, creed and language.

벧후 3:9
주의 약속은 어떤 이들이 더디다고 생각하는 것 같이 더딘 것이 아니라 오직 주께서는 너희를 대하여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하지 아니하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2 Peter 3:9
T
he Lord is not slack concerning his promise, as some men count slackness; but is longsuffering to us-ward, not willing that any should perish, but that all should come to repentance.

성막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이 제단은 하나님께서 희생에 중점을 두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제단에서 시작됩니다.
The altar was situated at the Tabernacle’s entrance showing us God’s emphasis on sacrifice; IT BEGINS AT THE ALTAR
이것을 갈보리의 십자가처럼 이 땅에 두셨습니다.
It was placed on the earth as was the cross of Calvary.
이것은 어떤 종류의 받침대나 계단에 놓이지 않고 흙에 바로 놓여졌습니다!
It was not placed on any type of pedestal or stairs but directly in the dirt!
제단은 신자와 마주하는 첫 번째 기구였습니다. 이것은 공적이며 모든 사람들에게 보여졌습니다.
The altar was the first piece of furniture to confront a believer; it was public and visible to all.
하나님을 섬기고자 할 때 우리가 처음으로 해야 할 일은 회개입니다.
The first thing we must do if we want to serve God is REPENT.
그리고 하나님을 위해 승리하는 삶을 살고자 할 때 우리는 매일은 아니더라도 규칙적으로 회개해야 합니다.
And if we want to live for God victoriously we must repent on a regular if not daily basis.
이것은 하나님의 요구이며 참된 성경적 구원의 첫 단계입니다.
It is demanded by God and is the first step in true Bible Salvation.

1:14-15
[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15] 요한이 그에 대하여 증언하여 외쳐 이르되 내가 전에 말하기를 내 뒤에 오시는 이가 나보다 앞선 것은 나보다 먼저 계심이라 한 것이 이 사람을 가리킴이라 하니라
John 1:14-15
14 Now after that John was put in prison, Jesus came into Galilee, preaching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15 And saying,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ye, and believe the gospel.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회개가 구식이기 때문에 회개가 우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놋제단은 우리에게 다른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Many today teach that repentance is not for us today because it is old fashioned, however the Brazen Altar shows us a different story.

고후 7:10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

2 Corinthians 7:10

10 For godly sorrow worketh repentance to salvation not to be repented of: but the sorrow of the world worketh death.

사람이 진정으로 자신의 죄를 회개 할 때 삶의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When someone truly repents of their sins there will be a transformation of life
우리가 날마다 자신을 부인할 때 우리는 지난 날의 모습과는 다른 새로운 삶의 모습으로 하나님과 동행할 것입니다.
When we daily die to self and flesh we will walk with God in newness of life and not like we did in our past

26:20
먼저 다메섹과 예루살렘에 있는 사람과 유대 온 땅과 이방인에게까지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하라 전하므로
Acts 26:20
But shewed first unto them of Damascus, and at Jerusalem, and throughout all the coasts of Judaea, and then to the Gentiles, that they should repent and turn to God, and do works meet for repentance.

제가 말씀 드리는 것을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죄인과 타락한 자들이 비록 환영받지 못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교회에 들어왔을 때에 불편함을 느꼈으면 합니다.
Please understand what I am about to say: I want sinners and backsliders to feel somewhat uncomfortable when they come into the church; but never unwelcome.
그들은 하나님의 임재가 우리 가운데 계심을 인식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말이나 태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로 인하여 죄를 깨달아야 합니다.
They should recognize that the presence of God is among us and it should convict them; not our words or our attitudes but God’s presence.

제단은 성막의 동쪽 끝에 위치해 있었고 서쪽 끝에는 은혜의 보좌로서 언약궤가 있었습니다.
The altar was situated to the extreme east of the tabernacle and to the extreme west was the Ark of the Covenant with the mercy seat.
회개는 가능한 한 성막에서 하나님의 임재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Repentance was as far from God’s presence as possible in the Tabernacle.
모든 죄인은 그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임재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가를 크게 이해하면서도 동시에 하나님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제단 가까이 다가갔습니다.
Every sinner drew near to the altar with a great understanding of how far he was from God’s holiness and presence, but at the same time with a hope in God.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의 죄과를 우리에게서 멀리 옮기셨으며 103:12
As far as the east is from the west, so far hath he removed our transgressions from us. Psalms 103:12

이곳은 하나님이 그의 백성들과 만난 곳이며, 여기에서 죄인은 예수 그리스도와 동행하는 관계를 시작합니다.
This is where God met with His people and here the sinner begins a walk and relationship with Jesus Christ.
제단은 놋물두멍, 성소 그리고 지성소로 향하는 통로였습니다.
The altar was a gateway to the Brazen Laver, the Holy Place and the Most Holy Place.
제단을 통하여 성막의 다른 사역들에 접근할 수 있지만 이곳을 돌아서 갈 수는 없습니다!
It gave access to the other ministries of the Tabernacle, but IT COULD NOT BE BYPASSED!
제단에서부터 시작됩니다
IT BEGINS AT THE ALTAR

희생의 제단을 먼저 통과하지 않고서는,
떡상의 공급도
금촛대의 빛도
분향단의 향도
즐길 수 없습니다.
There was no enjoying:
the sustenance of the bread
the light of the candle
the aroma of the incense

…without first going through the altar of sacrifice.
다른 모든 가구에는 의심할 여지 없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단으로부터 피가 뿌려져 있었습니다.
Every other piece of furniture was sprinkled with blood from the altar, unquestionably linked together.
분향단에 불을 붙인 석탄은 놋제단에서 가져왔습니다.
The coals that lit the altar of incense were taken from the altar of bronze.
예배, 찬양, 그리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개와 자아의 죽음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습니다.
You cannot separate worship, praise and a relationship with God from repentance and death to self
속죄일에, 대제사장은 놋제단에서 피를 취하여 그것을 분향단의 뿔과 은혜의 보좌에 바릅니다.
On the Day of Atonement, the High Priest was to take blood from the brazen alter and put it on the horns of the altar of incense as well as on the mercy seat.

제단의 목적은:
희생 제물을 바치고
죄를 범한 후 용서를 구하고
하나님을 섬기는 관계를 지속하는 것입니다.
The purpose of the altar was:
Offer sacrifice
Seek reconciliation after sinning
Continue a relationship of service to God.

제물이라는 단어는가까이 다가가다"는 말과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죄인은 희생 제물을 바치기 위해 하나님께 가까이 다가와야만 했습니다.
The word offering is related to the words “draw near” and thus the sinner had to come near unto God in order to offer his sacrifice.
하나님과 먼 거리에서 회개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하나님 앞에 솔직함과 개인적인 대결을 의미합니다.
You cannot repent long distance with God; it means openness with God and a personal confrontation.
회개는 인터넷,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게시판을 통해 할 수 없습니다.
Repentance cannot be done via the internet, Twitter, FaceBook, Instagram or message boards.
제단은 죽음, , 희생의 장소였습니다.
The altar was a place of death, blood and sacrifice.
저와 함께 매일 아침과 오후마다 양 한 마리가 바쳐질 때 제사장들이 핏빛으로 물든 하얀 의복을 입고 있는 장면을 상상해 보십시오.
Imagine with me the daily scene as the priests wore white linen garments that became stained blood red as a lamb was offered each morning and each afternoon.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가 있었습니다.

There were
Burnt Offerings
Oblations
Peace Offerings
Sin Offerings

또한 희생제물은 드려졌습니다.
마다
안식일마다
마다
마다
Also, offerings were made
Each day
Each Sabbath
Each month
Each year

제단은 피투성이였으며 그 냄새도 역겨웠습니다.
The altar was a very bloody place and the smell was disgusting.
향기로운 분향단은 성소 안에 있었지만 그곳은 피묻은 곳을 통해서만 이를 수 있습니다.
The place of fragrant offering was inside the Holy place but that was only reached through the bloody place.
많은 사람들은 놋제단의 체험 없이 그저 지성소를 체험하기 원합니다.
Many people want the Holy of Holies experience without the brazen altar experience
이것은 잘못된 교리로 이어지며 실제로 하나님의 임재로 나아가는데 있어서 인식의 부족을 가져옵니다.
This leads to false doctrine and really a lack of appreciation for what it took to get to God’s presence.
우리가 자주 제단으로 나아간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을 당연한 것으로 여겨 소홀하게 대하지 않을 것입니다.
If we visit the altar regularly, we will not take God's blessings for granted.
우리는 하나님의 기준을 정확하게 따라가야 하므로 하나님을 섬김에 있어서 지름길은 없습니다.
There are no shortcuts to serving God for we must follow His specifications exactly.
우리가 하나님을 향한 달콤한 향기로 자신을 드리고자 한다면 우리의 자아와 죄가 죽어야 합니다.
We must die to self and sin if we want to offer ourselves as a sweet-smelling savor to God.
우리가 하나님의 교제와 위임을 누리기 원한다면, 우리는 죽음의 장소를 반드시 지나야 합니다.
If we want to enjoy God’s fellowship and provision, we must pass by the place of death.
제단이 주는 큰 메시지는 죄 없는 자가 죄 많은 자를 위해 고통받는다는 것이며, 이것은 그리스도가 우리를 위해 하신 일을 상기시켜 줍니다.
The great message of the altar is that the innocent suffers for the guilty, reminding us of what Christ did for us.
죄는 심각한 것이며, 최종적인 값은 죽음입니다.
Sin is serious, and the final price is death

1:15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James 1:15
Then when lust hath conceived, it bringeth forth sin: and sin, when it is finished, bringeth forth death.

하나님은 자비로우시고 항상 즉시 판단하지는 않으시겠지만, 우리는 그것을 그의 승인의 표시로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
God will be merciful and not always judge immediately but we should not take that as a sign of His approval.
그 희생은 많은 것이며, 그들의 적용과 운영은 우리에게 하나님께서 죄를 매우 진지하게 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The sacrifices are many, their applications and administrations given in detail, showing us that God treats sin very seriously.
그 불은 제단에서 계속 타올랐습니다.
The fire was to burn continually on the altar.
하나님의 제단은 언제나 열려 있고 시간을 불문하여 우리를 받아 주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The altar of God is always open and ready to receive us no matter the hour.
레위기 9:24은 제단 위에서 타오르는 불은 하나님께서 직접 시작하셨음을 우리에게 말해 줍니다.
Leviticus 9:24 tells us that the fire that burnt on the altar was divinely started by God himself.
이것은 사람이 만든 것도,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것도 아닙니다. 사람이 만든 불은 다른 불이라 불리며 그 벌은 죽음입니다.
It was not man made, or man generated. Manmade fire is called “strange fire” and the penalty is death.
우리가 우리의 죄를 회개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한 불로 정화될 것입니다.
When we repent of our sins we will be purged by God’s divine fire.
이것은 사람들로부터 지어낸 어떤 교리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죄를 단순히 인정하는 것 이상의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죄를 외면해야 합니다.
This is not some made up doctrine from men, it is more than simply acknowledging our sin; we must turn away from our sin.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This is God’s word!

제단이 옮겨질 때, 레위 사람들에 의해 행해졌고, 그것은 보라색 천으로 덮이는 유일한 기구였습니다.
When the altar was to be moved it was done by the Levites and it was the only piece of furniture that was covered with a purple cloth.
보라색은 왕족의 색이며 파란색(하늘)과 주홍색(희생)이 섞일 때 이루어집니다.
Purple is the color of royalty and is achieved when blue (heavenly) and scarlet (sacrifice) are mixed.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육체로 나타나시고, 그의 육체를 희생하실 하늘의 그리스도의 완벽한 그림을 봅니다.
Here we see the perfect picture of the celestial Christ, God manifested in flesh and the sacrifice of His earthly body.
파란색과 빨간색이 섞였을 때, 우리는 만왕의 왕을 얻습니다.
When the blue and the red were mixed we get the King of Kings.
이 요소들을 마지막에 보호하기 위해 오소리 가죽을 두었습니다.
Upon this was placed the badger skins for final protection from the elements.
그는 우리에게 고운 모양도 매력도 없었지만 그의 희생은 우리 모두를 덮습니다.
He had no comeliness or attraction to us but His sacrifice covers us all.

이사야 53
[1] 우리가 전한 것을 누가 믿었느냐 여호와의 팔이 누구에게 나타났느냐
[2] 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 땅에서 나온 뿌리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가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
[3]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 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 마치 사람들이 그에게서 얼굴을 가리는 것 같이 멸시를 당하였고 우리도 그를 귀히 여기지 아니하였도다
[4]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 하나님께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6]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7]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 가는 어린 양과 털 깎는 자 앞에서 잠잠한 양 같이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8] 그는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 갔으나 그 세대 중에 누가 생각하기를 그가 살아 있는 자들의 땅에서 끊어짐은 마땅히 형벌 받을 내 백성의 허물 때문이라 하였으리요
[9] 그는 강포를 행하지 아니하였고 그의 입에 거짓이 없었으나 그의 무덤이 악인들과 함께 있었으며 그가 죽은 후에 부자와 함께 있었도다
[10] 여호와께서 그에게 상함을 받게 하시기를 원하사 질고를 당하게 하셨은즉 그의 영혼을 속건제물로 드리기에 이르면 그가 씨를 보게 되며 그의 날은 길 것이요 또 그의 손으로 여호와께서 기뻐하시는 뜻을 성취하리로다
[11] 그가 자기 영혼의 수고한 것을 보고 만족하게 여길 것이라 나의 의로운 종이 자기 지식으로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며 또 그들의 죄악을 친히 담당하리로다
[12] 그러므로 내가 그에게 존귀한 자와 함께 몫을 받게 하며 강한 자와 함께 탈취한 것을 나누게 하리니 이는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범죄자 중 하나로 헤아림을 받았음이니라 그러나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
Isaiah 53
1 Who hath believed our report? and to whom is the arm of the Lord revealed?
2 For he shall grow up before him as a tender plant, and as a root out of a dry ground: he hath no form nor comeliness; and when we shall see him, there is no beauty that we should desire him.
3 He is despised and rejected of men; a man of sorrows, and acquainted with grief: and we hid as it were our faces from him; he was despised, and we esteemed him not.
4 Surely he hath borne our griefs, and carried our sorrows: yet we did esteem him stricken, smitten of God, and afflicted.
5 But he was wounded for our transgressions, he was bruised for our iniquities: the chastisement of our peace was upon him; and with his stripes we are healed.
6 All we like sheep have gone astray; we have turned every one to his own way; and the Lord hath laid on him the iniquity of us all.
7 He was oppressed, and he was afflicted, yet he opened not his mouth: he is brought as a lamb to the slaughter, and as a sheep before her shearers is dumb, so he openeth not his mouth.
8 He was taken from prison and from judgment: and who shall declare his generation? for he was cut off out of the land of the living: for the transgression of my people was he stricken.
9 And he made his grave with the wicked, and with the rich in his death; because he had done no violence, neither was any deceit in his mouth.
10 Yet it pleased the Lord to bruise him; he hath put him to grief: when thou shalt make his soul an offering for sin, he shall see his seed, he shall prolong his days, and the pleasure of the Lord shall prosper in his hand.
11 He shall see of the travail of his soul, and shall be satisfied: by his knowledge shall my righteous servant justify many; for he shall bear their iniquities.
12 Therefore will I divide him a portion with the great, and he shall divide the spoil with the strong; because he hath poured out his soul unto death: and he was numbered with the transgressors; and he bare the sin of many, and made intercession for the transgressors.

이것은 제단에서 시작합니다.
IT BEGINS AT THE ALTAR

우리가 그리스도 안으로 더 깊이 나아가기 전에, 우리는 회개로서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 안으로 더 깊이 오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Before we can go deeper in Christ we need to allow His Spirit to go deeper in us as we repent.
오늘은 우리 자신을 살펴보겠습니다. 숨길 것도 없고 뒤로 물러설 것도 없습니다.
Let’s examine ourselves today, nothing hidden and nothing held back.
우리가 회개의 제단에 다시 죽는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에 다가설 수 있습니다.
If we die again on the altar of repentance we will have access to the rest of God’s blessings.
하나님의 모든 공급, 지속, 승리, 능력, 영광은 회개의 제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All of God’s provision, sustenance, victory, power and glory are reached through the altar of repentance.
하나님께서 제게 주신 모든 것을 원하지만, 그것은 제단에서 시작합니다.
I want all that God has for me, but IT BEGINS AT THE ALTA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거룩함이란 무엇인가

머리에 관한 성경의 진리

성경적인 장신구와 옷차림